top of page

임상신경과학 연구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과정 및 석사 과정 졸업생

 

 

 

 

 

 

​박사 과정

SangKeum Doh, Ph.D.  

도상금 (2006). 성폭력으로 인한 심리증상을 매개하는 무력감, 귀인 및 정서 대처. 현 도상금 임상심리센터.

Hoyoung Kim, Ph.D. 

김호영 (2012). 인지통제 훈련이 노인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현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Hyeyeon Park, Ph.D. 

박혜연 (2015). 스트레스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현 분당서울대병원 진료지원센터.

Jaeik Kim, Ph.D.

김재익 (2015). 한국 여성 노인의 뇌대사와 기능적 연결망에서 관찰된 정규교육 효과.

Minyoung Shin, Ph.D.

신민영 (2017). 기저 수행이 낮은 정상 노인의 인지노화와 치매 위험. 현  용문심리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Eunhui Park, Ph.D.

박은희 (2019). 주요 우울장애 환자의 인지 결함이 일상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 한림대학교 성신병원 수퍼바이저.

Seyul Kwak, Ph.D.

곽세열 (2020). 노인신경심리검사 수행의 뇌 연결성 기반 예측. 현 부산대 심리학과 교수.
 

Hairin Kim, Ph.D.

김혜린 (2021). 노년기 사회적 단절이 건강 및 고립에 대한 신경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현 서울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Dasom Lee, Ph.D. 

​이다솜 (2022). 한국판 HCAP(Harmonized Cognitive Assessment Protocol)의 타당화 연구.  현 서울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Hyeyoung Park, Ph.D.

박혜영 (2024). 한국 노인의 불안 속성와 인지기능의 관계: 특성 및 상태 불안의 신경 상관물의 차이를 중심으로. 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련 중

​석사 과정

 

Myongjin Kim, M.A. 

김명진 (2002). 노인용 언어학습 검사의 표준화 연구. 현 KOICA 근무.

 

Ho-Jeong Song, M.A. 

송호정(2002). 한국 노인의 숫자폭 및 시공간폭 검사 표준화 연구. 

 

Yun-Jeong Shin, Ph.D.

신윤정 (2004). 정신분열병 환자의 마음 이론. 현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상담 전공 교수.

 

Sungha Lee, Ph.D. 

이성하 (2005). 스트레스와 인지적 노화. 현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

 

Youngbin Kwak, Ph.D.

곽영빈 (2006). Perceived stress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posterior cingulate metabolism and poor episodic memory. 현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ical and Brain Scienc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Minue J. Kim, Ph.D. 

김민우 (2006). Diminished Rostral Anterior Cingulate Activity in Response to Threat-Related Event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현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Hyo jin Kim, M.A.

김효진 (2006). Impaired strategic decision-making in schizophrenia. 

 

Kyoung-min Shin, Ph.D.

신경민 (2007). 한국 노인의 인지 노화와 치매 위험 요인. 현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Jeongmi Lee, Ph.D.

이정미 (2007). 정상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촉발 코티졸 반응과 기저 코티졸 수준, 인지기능과의 관계. 현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Sooyoen Sa, M.A.

사수연 (2008). 범주 유창성 과제로 평가한 한국 노인들의 의미 지식 구조. 현 서울 EMDR 트라우마 센터 임상심리전문가.

 

Jungsuh Suk, M.A.

석정서 (2008). 저학력 노인의 개념화를 평가하는 신경심리도구로서의 비율 추론 과제. 

 

Kyungin Choi, M.A.

최경인 (2008). 위험 회피 성향이 스트레스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쐐기앞소엽의 매개 역할. 

 

Yong-Myo Beak, M.A.

백영묘 (2010). 지각된 스트레스 : 척도 표준화 및 기억 기능에 대한 영향 탐색. 현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박사과정 재학 중.

 

Min jung Yang, M.A.

양민정 (2010). Longitudinal Age-Related Cerebral Metabolic Chang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gnitive Functions in Elderly Women. 현 Ph.D Candidate for Clinical Psychology, Rutgers,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Ji-ae Jung, M.A. 

정지애 (2011). Age-Related Change of the Default Mode Network's Resting-State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Cognitive Aging.

EunHa Jung, M.A.

정은하 (2012). 인지 통제 과제에서 노인의 암묵학습. 현 삼성SDS 상담심리사. 

 

Hanbyul Lee, M.A.

이한별 (2013). 연합 재인 과제에 나타나는 연령에 따른 기억 수행 변화의 특성. 현 해바라기 센터 임상심리전문가.

Dongwon Oh, Ph.D.

오동원 (2013). 공포와 분노 표정이 노인들의 기억을 조절하는 양상. 현 Postdoctoral researcher in Social Cognitive and Neural Sciences Lab at New York University 

 

Hyun Song, M.A.

송현 (2014). The Role of the Frontopariatal Network in the Effects of Education on Reasoning Ability in Healthy Elders. 

 

Hankyeong Lee, M.A.

이한경 (2014). 이야기 회상의 주제 및 세부 단위에서 관찰된 정상 및 경도인지장애의 기억 특성. 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재학 중.

Soulji Bae, M.A.

배솔지 (2014). 정상노화와 경도인지장애에서 관찰되는 시-공간 기억 특성: K-WMS-IV 디자인 소검사 수행 비교분석. 

 

Jiyoun Lee, M.A. 

이지윤 (2015). Cognitive reserve as a protective factor moderating the effect of depressive mood on memory impairment. 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Seyul Kwak, Ph.D. 

곽세열 (2016). 한국 노인의 교육 경험에 따른 신경병리적 부담과 기억기능의 관계. 현 부산대 심리학과 교수.

Dasom Lee, M.A. 

이다솜 (2017). 인지통제훈련이 청소년들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현 서울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Hairin Kim, M.A.

​김혜린 (2017). 노년기 인지통제 과제에서 반응속도 변산성과 뇌 기능 활성화. 현 서울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Hayoung Yoon, M.A.

​윤하영 (2017). 뇌 포도당 대사 저하와 인지 노화 간 상관관계에 대한 교육의 조절효과: FDG PET 연구.

Ilyoung Kim, M.A.

김일영 (2018). The Neural Correlates of Within-Session Practice Effect During Executive Function Task.  

Sooyun Cho, M.A. 

조수연 (2018). Brain Morphological and Connectivity Basis of Adolescent Impulsivity: Self-report vs. Inhibitory Performance. 

Raihyung Lee, M.A.

이래형 (2019). Cognitive control training enhances the integration of intrinsict functional networks in adolescence.  

Yaehee Cho, M.A.

조예희 (2019). 노년기 해마부피와 일화기억기능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Yesom Ha. M.A. 

하예솜 (2019). Microstructural white matter correlates of cognitive reserve. 

​Eunsung Lee, M.A.

이은성 (2020). 배우자와 직업의 유무가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연결망의 조절. 현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련 중.

Nauen Oh, M.A.

오나은 (2020). Neural pattern signature of social exclusion predicts loneliness in older adults. 

Hyeyoung Park, M.S.

박혜영 (2020). 남성 노인에게 고독감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백질병변의 매개효과. 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수련 중.

Jihyeon Jo, M.S. 

조지현 (2021). 노년기 사회활동이 측두엽 회백질위축에 따른 일화기억 감퇴에 미치는 영향. 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재학 중.

Seongjae Park, M.A. 

박성재 (2021). 노년기 일화기억 기능과 백질병변 간 상관관계에 대한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Dowon You, M.A. 

​유도원 (2021). 노년기 과제 관련 뇌 연결망의 효율적 재조직화와 연관된 인지 통제 수행. 현 용인정신병원 수련 중 

Eunjee Ko, M.A. 

​고은지 (2022). 한국 농촌 노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타인 표상의 신경상관자.

Somin Kim, M.A. 

​김소민 (2022). Intra-network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Compensates for Age-related Changes in Older Adults.

Hajeong Park, M.A. 

​박하정 (2022). Distinct rol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neural correlates in the predic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현 Ph.D. Program in Clinical Psychology in Texas A&M University.

Jisoo Lee, M.A. 

이지수 (2023).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Cognitive Function was Mediated by Lack of Emotional Closeness

Soobim Uam, M.A. 

엄수빈 (2023). 주관적 인지저하를 경험하는 노인의 인지통제 과제 수행 중 관찰된 신경 보상 기전.  현 서울대학교병원 수련 중

Undrakh Tuguldur, M.A.

Undrakh Tuguldur (2023).  마을 주민 얼굴 응시 과제에서 노년기 외로움에 따른 보상 영역 활성화 및 사회연결망 특성의 조절효과. 

 

Hyunjeong Kwak, M.A.

곽현정 (2024). 노년기 삶의 목적이 연령에 따른 해마부피와 기억기능에 미치는 영향현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재학 중.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