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신경과학 연구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노년기의 사회적 삶과 건강한 노화

: 사회연결망은 인지기능/뇌 건강을 보호하는가?

 

 

다양한 연구들은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루는 노인들에게서 치매의 유병률이 더 낮으며 인지기능의 감소 또한 덜하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현존하는 연구들은 주관적인 자기보고 형식을 통해 노년기의 사회 관계의 특성을 측정하고 있는데, 전체 집단의 관점에서 개인의 사회적 삶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실에서는 KSHAP의 완전사회연결망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이 마을 속에서 이루는 연결망이 갖는 특성을 살피고 있다. 최근 완료된 프로젝트에서는 사회연결망 속에서의 개인의 위치와 노년기의 뇌 건강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현재 본 연구실에서는 노인우울증 증상을 보이면서도 더 나은 인지기능을 보이는 개인들의 사회연결망 특성을 탐구하고 있다.

그림: K마을 노인 인구의 완전사회연결망. 꼭지점의 크기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타인을 연결하는 기회의 정도 (brokerage)를 의미한다.  서로 다른 색은 서로 다른 리를 나타낸다.

Relevant publications

Joo, W. T., Kwak, S., Youm, Y., & Chey, J. (2017).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difference in the complete network of an entire village: the role of social network size and embeddedness. Scientific reports, 7(1), 1-12.

 

Kwak, S., Joo, W. T., Youm, Y., & Chey, J. (2018). Social brain volume is associated with in-degree social network size among older adul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85(1871), 20172708.

 

Kim, H., Kwak, S., Kim, J., Youm, Y., & Chey, J. (2019). social Network posi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life Depressive symptoms and Memory Differently in Men and Women. Scientific reports, 9(1), 1-10.

 

Bang, M., Kim, J., An, S. K., Youm, Y., Chey, J., Kim, H. C., ... & Lee, E. (2019). Associations of systemic inflammation with frontotemporal functional network connectivity and out-degree social-network siz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Brain, behavior, and immunity, 79, 309-313.

complete social netowrk, township K.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