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신경과학 연구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임상신경과학 연구실에서 개발한 신경심리검사도구

​검사도구의 제목을 클릭하여 구매 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orean Dementia Rating Scale 2 (K-DRS2)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orean Dementia Rating Scale 2: 약칭 K-DRS2)는 국내 노인들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 평가와 치매 환자의 진단 및 경과 측정을 위하여 미국의 DRS-2를 한국에서 재표준화한 검사이며, 1988년 출판된 K-DRS의 개정된 검사이다. K-DRS는 국내 임상가들이 치매 환자들을 진단하고 경과를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치매 환자들의 인지 행동적 퇴행의 수치화를 가능하게 하여 임상 관리 및 제반 연구에 기여해 왔다. 이후 2011년 K-DRS2로 개정되며 보다 다양한 연령 및 교육 배경의 한국 노인들에 대한 규준이 확립되었다. K-DRS2는 인지기능들을 쉽고 간편하면서도 상세하게 측정하므로 임상 장면에서 치매 환자들의 인지 기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References:

김호영, 최진영, & 석정서. (2010).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DRS) 를 이용한 노인인지기능 평가에서 변화유의성 탐지: 50 세 이상

            장노년 검사-재검사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05-523.

석정서, 최진영, & 김호영. (2010).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DRS) 의 2 차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59-572.

최진영, 나덕렬, 박선희, & 박은희. (1998). 임상: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247-258.

최진영, & 이소애. (1997).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DRS) 의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423-433.

(K-DRS)

Chey, J., Na, D. R., Park, S., Park, E., & Lee, S. (1999). Effects of education in dementia assessment: Evidence

            from  standardizing the Korean-Dementia Rating Scal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3(3), 293-302.

Lee, M. S., Choi, Y. K., Jung, I. K., & Kwak, D. I. (2000). Epidemiological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in a Korea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4(2), 154-163.

Chey, J., Na., D., Tae, W., Hong, S. (2006). Medial temporal lobe volume of nondemented elderly individuals with poor

            cognitive functions. Neurobiology of Aging. 27, 9, 1269-1279.

노인 기억장애 검사

Elderly Memory disorder Scale (EMS)

 

노인 기억장애 검사(Elderly Memory Scale: 약칭 EMS)는 국내에서 치매 연구가 본격화된 지난 십여 년간 밝혀진 한국 노인들의 인지 및 기억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 노인들의 기억을 가장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억 패러다임들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한국은 현재 세계에서 노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사회로 손꼽히고 있으며, 노인기 대표적인 정신 행동 질환인 치매의 발병 또한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노인의 기억 기능을 정밀하고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여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EMS는 치매, 특히 AD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다양한 측면의 기억 검사들(일화적, 언어적, 시공간적, 의미적 기억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References:

 

김호영, & 최진영. (2010). 노인 기억장애 검사 (Elderly Memory-disorder Scale) 의 검사-재검사에서 변화의 유의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441-460.

박혜연, 최진영, 김상은 (2013). 이야기회상 검사의 신경학적 타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임상, 32, 3, 465-480.

최진영, 이지은, 김명진, & 김호영. (2006). 노인용 언어 학습 검사 (Elderly Verbal Learning Test) 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141-173.

Baek, M. J., Kim, H. J., Ryu, H. J., Lee, S. H., Han, S. H., Na, H. R., ... & Kim, S. (2011). The usefulness of the story recall test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18(2),

            214-229.

Chey, J. Y. (2007). Elderly memory disorder scale. Seoul, Hakjisa.

Kim, H., & Chey, J. (2010). Effects of education, literacy, and dementia on the Clock Drowling Test performanc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6(06), 1138-1146.

​한국판 웩슬러 기억 검사 4판

Korean Wechsler Memory Scale Fourth Edition (K-WMS-IV)

한국판 웩슬러 기억 검사-4판(Korean Wechsler Memory Scale-Fourth Edition: 약칭 K-WMS-IV)은 16-69세 인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기억과 작업기억 능력들을 개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검사 배터리이다. K-WMS-IV는 기억 결함이 의심되거나 신경과적, 정신과적, 그리고 발달 장애 등 여러 장애의 환자들이 흔히 보고하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능의 요소들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개정된 4판은 논리기억, 단어연합, 시각재생, 간이 인지상태검사, 디자인, 공간합산, 기호폭의 총 7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 있다. 논리기억, 단어연합, 디자인, 그리고 시각재생 소검사의 경우에는 즉각 조건과 지연조건으로 나뉘며 몇몇 소검사에서는 과정 점수를 산출하기도 한다. 

 

References:

 

이한경 (2014). 이야기 회상의 주제 및 세부 단위에서 관찰된 정상 및 경도인지장애의 기억 특성.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

K-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IV)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약칭 K-WAIS-IV)은 미국 원판인 WAIS- IV(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Wechsler, 2008)를 한국판으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개인용 지능검사이다. 16세 0개월부터 69세 11개월까지의 청소년과 성인의 인지능력을 개인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의 가장 최신판인 4판은 소검사들과 조합점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합점수는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나타내주는 점수와 특정 인지영역에서의 지적 기능을 나타내 주는 점수로 구성되어 있다. K-WAIS-IV는 우선 일반적인 인지능력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현장에서 매우 우수한 지적 능력을 지녔거나 학습장애 혹은 인지적 결함을 보이는 개인을 찾아내어 적절한 개입을 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임상장면에서 K-WAIS-IV는 신경학적 문제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감별하고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K-WMS-IV를 함께 활용한다면 기억기능에 대한 보다 완벽한 임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두 검사는 함께 표준화되었기 때문에, 이 자료에 근거하여 능력과 기억을 비교하거나 측정치 간의 상관에 대한 연구 자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References:

 

서리나, 성기혜, 김지혜, 황순택, 박광배, 최진영, 홍상황 (2014).  조현병환자의 K-WAIS-IV의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3, 4,

            719-737.

최아영, 황순택, 김지혜, 박광배, 최진영, 홍상황 (2014).  K-WAIS-IV단축형의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3,2, 413-428.

Kim, S. G., Lee, E. H., Hwang, S. T., Park, K., Chey, J., Hong, S. H., & Kim, J. H. (2015). Estimation of K-WAIS-IV Premorbid

            Intelligence in South Korea: Development of the KPIE-IV.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11.

 

 

bottom of page